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구현
- 코딩테스트
- 혁펜하임강의
- AI강의
- 다이나익 프로그래밍
- AIDEEPDIVE
- 혁펜하임
- 패스트캠퍼스
- 큐
- 알고리즘
- 그리디알고리즘
- 백준 시그마
- 백준 13172 파이썬
- 백준 13172
- 자료구조
- mysql
- 분할 정복
- DP
- 백준 Σ 파이썬
- 백준 시그마 파이썬
- 혁펜하임AI
- 백준 구간 합 구하기 5
- 수학
- 혁펜하임강의후기
- 백준 구간 합 구하기 5 파이썬
- 분할 정복을 이용한 거듭제곱
- 백준 Σ
- 패스트캠퍼스혁펜하임
- 다이나믹프로그래밍
- 모듈로 곱셈 역원
- Today
- Total
MingyuPark
[백준 1052] 물병 본문
문제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52
1052번: 물병
지민이는 N개의 물병을 가지고 있다. 각 물병에는 물을 무한대로 부을 수 있다. 처음에 모든 물병에는 물이 1리터씩 들어있다. 지민이는 이 물병을 또 다른 장소로 옮기려고 한다. 지민이는 한 번
www.acmicpc.net
아이디어
한 쪽 물병에 담긴 물을 나머지 모두 붓기 때문에 물병에 있는 물은 2의 거듭제곱(2^x) 으로 표현할 수 있다.
K개를 넘지 않는 이라는 표현이 핵심이다. 가능하면 x가 큰 물병이 많은 게 좋다는 뜻이다.
1026개의 물병이 있었다고 해보자. 이 때는 2리터짜리 물병 513개보다는 1024리터짜리 물병 하나와 2리터짜리 물병 하나가 좋다는 뜻이다. (그렇다고 무조건 적은 것을 찾는 게 아니라, 이렇게 x가 큰 물병 위주로 만들어서 k개 이하의 물병만 나오면 된다.)
주어진 n을 2의 거듭제곱으로 나타내는 효과적인 방법이 있다. bin(n)을 이용하는 것이다.
예를 들어, 1026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.
bin(1026)
> '0b10000000010'
1024리터(2^10)짜리 물병 하나, 2리터(2^1)짜리 물병 하나의 합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.
지금 생각해보면 당연하지만 헷갈릴 수 있는 고민을 했었다.
1. 같은 용량을 가진 물병이 하나씩만 있어야 하는가? > O
1024리터짜리 물병이 두 개가 있다고 가정하면, 두 개를 합쳐서 2048리터짜리 물병 하나로 만들어버리면 되기 때문이다.
이제 남은 과정은 어렵지 않다.
1의 개수가 물병의 개수이다. 물병을 하나씩 늘려가면서 1의 개수가 k이하가 되는 순간을 찾으면 된다.
몇 개를 추가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cnt 변수를 사용했다.
n이 커지다보면 큰 물병 여러 개가 만들어지면서 k개 (또는 k개 이하)의 물병이 만들어지는 순간이 있다.
2. k개로 줄이지 못하는 경우는 없는가? > O
한 개씩 추가하다가 2의 거듭제곱이 되는 순간 1개의 물병으로 만들 수 있게 된다.
Solution
n, k = map(int, input().split())
cnt = 0
while bin(n).count('1') > k :
n += 1
cnt += 1
print(cnt)
'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] 네트워크 (0) | 2022.11.03 |
---|---|
[백준 1059] 좋은 구간 (1) | 2022.09.27 |
[백준 9184] 신나는 함수 실행 (1) | 2022.09.25 |
[백준 11866] 요세푸스 문제 0 (0) | 2022.09.24 |
최장 증가 부분 수열 (LIS) 알고리즘 - DP (1) | 2022.09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