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AI강의
- 분할 정복을 이용한 거듭제곱
- 백준 구간 합 구하기 5
- 백준 구간 합 구하기 5 파이썬
- 백준 13172
- 패스트캠퍼스
- 큐
- 백준 13172 파이썬
- 패스트캠퍼스혁펜하임
- 혁펜하임AI
- AIDEEPDIVE
- 혁펜하임강의
- 구현
- 분할 정복
- 혁펜하임강의후기
- 수학
- mysql
- 다이나익 프로그래밍
- 코딩테스트
- 백준 시그마 파이썬
- 다이나믹프로그래밍
- 백준 시그마
- 알고리즘
- 모듈로 곱셈 역원
- 백준 Σ
- 혁펜하임
- DP
- 백준 Σ 파이썬
- 자료구조
- 그리디알고리즘
- Today
- Total
MingyuPark
[백준 11660] 구간 합 구하기 5 본문
문제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1660
11660번: 구간 합 구하기 5
첫째 줄에 표의 크기 N과 합을 구해야 하는 횟수 M이 주어진다. (1 ≤ N ≤ 1024, 1 ≤ M ≤ 100,000)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표에 채워져 있는 수가 1행부터 차례대로 주어진다. 다음 M개의 줄에는 네
www.acmicpc.net
아이디어
누적합을 이용해야 한다.
주어진 표에서 각 좌표별로 누적합을 계산한 뒤에 내가 구하고자 하는 좌표의 누적합을 구하면 된다.
1 | 2 | 3 | 4 |
2 | 3 | 4 | 5 |
3 | 4 | 5 | 6 |
4 | 5 | 6 | 7 |
위의 표에서 각 위치별 누적합을 구해보자.
1 | 2 | 3 | 4 |
2 | 3 | 4 | 5 |
3 | 4 | 5 | 6 |
4 | 5 | 6 | 7 |
우선 첫 번째로 (1, 2)의 2에 (1, 1)의 1을 더해주고, (2, 1)의 2도 (1, 1)의 1을 더해주면 된다.
그러면 다음과 같이 계산됨을 알 수 있다.
1 | 3 | 3 | 4 |
3 | 3 | 4 | 5 |
3 | 4 | 5 | 6 |
4 | 5 | 6 | 7 |
이 과정까지는 쉽다. 그러면 (2, 2)의 경우 누적합은 어떻게 구하면 될까?
(2, 2)의 3에 (1, 2)까지의 누적합과 (2, 1)까지의 누적합을 더해주면 된다.
이 때, (1, 1)의 1은 (1, 2)까지의 누적합과 (2, 1)까지의 누적합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중복되기때문에 빼줘야 한다.
1 | 3 | 3 | 4 |
3 | 8 | 4 | 5 |
3 | 4 | 5 | 6 |
4 | 5 | 6 | 7 |
즉, f(x, y)를 x, y지점의 누적합이라고 하면,
$$f(x, y) = f(x-1, y) + f(x, y-1) - f(x-1, y-1) + arr[x][y]$$
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.
(3, 3) 위치의 누적합을 계산하는 방법을 확인해보자.
$$f(3, 3) = f(2, 3) + f(3, 2) - f(2, 2) + arr[3][3]$$이 된다.
이다. 이 과정에서 인덱스 계산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형태를 변형시켰다.
이렇게 하면 arr[x]는 x번째 행이 된다. (그렇게 하지 않으면 arr[x]는 x+1번째 행이 된다.)
최종적으로 누적합으로 업데이트하면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.
0 | 0 | 0 | 0 | 0 |
0 | 1 | 3 | 6 | 10 |
0 | 3 | 8 | 15 | 24 |
0 | 6 | 15 | 27 | 42 |
0 | 10 | 24 | 42 | 64 |
(x1, y1)에서 (x2, y2)까지의 누적합을 구하고 싶으면,
f(x2, y2) - f(x1-1, y2) - f(x2, y1-1) + f(x1-1, y1-1)을 구해주면 된다.
Solution
import sys
n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
graph = [[0 for _ in range(n+1)] for _ in range(n+1)]
for i in range(1, n+1) :
graph[i] = [0] + list(map(int, sys.stdin.readline().split()))
for i in range(1, n+1) :
graph[1][i] += graph[1][i-1]
graph[i][1] += graph[i-1][1]
for i in range(2, n+1) :
for j in range(2, n+1) :
graph[i][j] += graph[i][j-1] + graph[i-1][j] - graph[i-1][j-1]
for _ in range(m) :
x1, y1, x2, y2 = map(int, sys.stdin.readline().split())
answer = graph[x2][y2] - graph[x1-1][y2] - graph[x2][y1-1] + graph[x1-1][y1-1]
print(answer)
'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 13172] Σ (0) | 2023.02.16 |
---|---|
[백준 10830] 행렬 제곱 (0) | 2023.02.16 |
[백준 1629] 곱셈 (0) | 2023.02.16 |
[백준 11478] 서로 다른 부분 문자열의 개수 (0) | 2023.02.16 |
[백준 1932] 정수 삼각형 (0) | 2023.02.04 |